책소개
동양화 속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부터 기법까지 개괄적으로 다룬 책이다. 동양화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도 입문서로서 쉽게 읽을 수 있으며, 관련 전문가들에게는 핸드북으로 활용될 수 있다.
1, 2, 3장에서는 동양화에 들어있는 사상적 부분을 다루고 있으며, 4장에서는 한국화의 재료, 5장과 6장에서는 한국화의 분류와 소재, 7장에서는 조선시대 한국화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 8장에서는 한국화와 색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01 동양사상의 이해
(1) 중국의 사상
(2) 인도의 사상
(3) 한국의 사상
(4) 일본의 사상
(5) 동양사상의 특징
02 동양회화의 사상적 배경
(1) 동양 미술에서의 자연관
(2) 동양사상
가. 유가의 후소와 중용
나. 불가의 선
다. 노ㆍ장자의 무위자연
03 동양화의 정신과 사상
(1) 동양화를 그리는 화가는 마음 수양이 필요하다
(2) 마음의 주객합일(主客合一)
(3) 동양사상의 영향을 받은 여백의 미(美)
가. 은유성
나. 사유성
다. 함축성
04 한국화의 재료적 의미
(1) 한국화의 정신적 특성 개념을 바탕으로 본 전통적 재료 특성
(2) 수묵화와 채색화
(3) 수묵화의 재료적 특성
가. 종이
나. 붓
다. 먹
라. 벼루
(4) 채색화의 재료적 특성
가. 안료
나. 분채
다. 아교
05 한국회화의 분류
(1) 산수화
(2) 인물화
가. 고사인물화
나. 도석인물화
다. 풍속화
라. 초상화
(3) 영모화조화
가. 영모화
나. 화조화
다. 초충도
라. 화훼화
마. 기명절지도
바. 어해도
(4) 문인화, 사군자
가. 문인화
나. 사군자
(5) 민화
가. 무속과 도교계통
나. 불교계통
다. 유교계통
라. 장식용 민화
06 소재와 상징적 의미
(1) 소재
가. 동물
나. 새
다. 물고기
라. 식물과 열매
(2) 상징적 의미
가. 장수
나. 급제
다. 부귀
라. 다산
마. 벽사
07 조선시대 우리 화가와 작품
(1) 조선 초기(1392~1550년)
가. 안견(安堅, ?~?)
나. 강희안(姜希顔, 1419~1464년)
다. 이암(李巖, 1499~?년)
라. 신사임당(申思任當, 1504~1551년)
(2) 조선 중기(약 1550~약 1700년)
가. 이징(李澄, 1581~?년)
나. 김명국(金明國, 1600~?년)
다. 김시(金?, 1524~1593년)
라. 이경윤(李慶胤, 1545~1611년)
마. 이정
(3) 조선 후기(약 1700~약 1850년)
가. 정선(鄭敾, 1676~1759년)
나. 윤두서(尹斗緖, 1668~1715년)
다. 심사정(沈師正, 1707~1769년)
라. 최북(崔北, 1712~1786?년)
마. 강세황(姜世晃, 1712~1791년)
바. 김홍도(金弘道, 1745~?년)
사. 신윤복(申潤福, 1758~?년)
(4) 조선 말기(약 1850~약 1910년)
가. 조희룡(趙熙龍, 1789~1866년)
나. 남계우(1811~1890년)
다. 장승업(張承業, 1843~1897년)
(5) 근대회화
가. 소정 변관식(1899~1976년)
나. 운보 김기창(1913~2001년)
다. 소탑(素塔) 이중섭(1916~1956년)
라. 박수근(朴壽根)(1914~19645년)
마. 장욱진(張旭鎭)(1918~1990년)
08 한국화의 색채적 의미
(1) 한국인의 색채 형성의 사상적 배경
(2) 생활문화 속에 나타난 색채
가. 의생활과 색채
나. 식생활과 색채
다. 주생활과 색채
(3) 오방색의 개념
가. 황색(黃色)
나. 청색(靑色)
다. 적색(赤色)
라. 백색(白色)
마. 흑색(黑色)
참고문헌